주석 성경 > 마태오 복음서

2장

동방 박사들의 방문

1

예수님께서는 헤로데 임금 때에 유다 베들레헴에서 태어나셨다.1) 그러자 동방에서 박사들이2) 예루살렘에 와서,

2

“유다인들의 임금으로 태어나신 분이 어디 계십니까? 우리는 동방에서 그분의 별을 보고3) 그분께 경배하러 왔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3

이 말을 듣고 헤로데 임금을 비롯하여 온 예루살렘이 깜짝 놀랐다.

4

헤로데는 백성의 수석 사제들과 율법 학자들을 모두 모아 놓고,4) 메시아가5) 태어날 곳이 어디인지 물어보았다.

5

그들이 헤로데에게 말하였다. “유다 베들레헴입니다. 사실 예언자가 이렇게 기록해 놓았습니다.6)

6

‘유다 땅 베들레헴아7)
너는 유다의 주요 고을 가운데 결코 가장 작은 고을이 아니다.8)
너에게서 통치자가 나와
내 백성 이스라엘을 보살피리라.’”9)

7

그때에 헤로데는 박사들을 몰래 불러 별이 나타난 시간을 정확히 알아내고서는,

8

그들을 베들레헴으로 보내면서 말하였다. “가서 그 아기에 관하여 잘 알아보시오. 그리고 그 아기를 찾거든 나에게 알려 주시오. 나도 가서 경배하겠소.”

9

그들은 임금의 말을 듣고 길을 떠났다. 그러자 동방에서 본 별이10) 그들을 앞서가다가, 아기가 있는 곳 위에 이르러 멈추었다.

10

그들은 그 별을 보고 더없이 기뻐하였다.

11

그리고 그 집에 들어가 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있는 아기를 보고 땅에 엎드려 경배하였다. 또 보물 상자를 열고 아기에게 황금과 유향과 몰약을 예물로 드렸다.11)

12

그들은 꿈에 헤로데에게 돌아가지 말라는 지시를 받고, 다른 길로 자기 고장에 돌아갔다.

이집트로 피신하시다

13

박사들이 돌아간 뒤, 꿈에 주님의 천사가 요셉에게 나타나서 말하였다. “일어나 아기와 그 어머니를 데리고 이집트로 피신하여, 내가 너에게 일러 줄 때까지 거기에 있어라. 헤로데가 아기를 찾아 없애 버리려고 한다.”12)

14

요셉은 일어나 밤에 아기와 그 어머니를 데리고 이집트로 가서,

15

헤로데가 죽을 때까지 거기에 있었다. 주님께서 예언자를 통하여, “내가 내 아들을 이집트에서 불러내었다.”13)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려고 그리된 것이다.14)

헤로데가 아기들을 학살하다

16

그때에 헤로데는 박사들에게 속은 것을 알고 크게 화를 내었다. 그리고 사람들을 보내어, 박사들에게서 정확히 알아낸 시간을 기준으로, 베들레헴과 그 온 일대에 사는 두 살 이하의 사내아이들을 모조리 죽여 버렸다.15)

17

그리하여 예레미야 예언자를 통하여 하신 말씀이 이루어졌다.

18

“라마에서 소리가 들린다.
울음소리와 애끊는 통곡 소리.
라헬이 자식들을 잃고 운다.
자식들이 없으니
위로도 마다한다.”16)

이집트에서 돌아오시다

19

헤로데가 죽자, 꿈에 주님의 천사가 이집트에 있는 요셉에게 나타나서 말하였다.

20

“일어나 아기와 그 어머니를 데리고 이스라엘 땅으로 가거라. 아기의 목숨을 노리던 자들이 죽었다.”

21

요셉은 일어나 아기와 그 어머니를 데리고 이스라엘 땅으로 들어갔다.

22

그러나 아르켈라오스가 아버지 헤로데를 이어 유다를 다스린다는 말을 듣고,17) 그곳으로 가기를 두려워하였다. 그러다가 꿈에 지시를 받고 갈릴래아 지방으로 떠나,

23

나자렛이라고 하는 고을로 가서 자리를 잡았다. 이로써 예언자들을 통하여 “그는 나자렛 사람이라고 불릴 것이다.”18) 하신 말씀이 이루어졌다.

주석
1

여기에서 말하는 헤로데 임금은 대(大)헤로데를 말한다. 이 임금은 유다의 대사제 히르카노스 2세의 시종장 안티파테르의 아들로서 기원전 73년경에 태어났다. 그는 우여곡절 끝에 기원전 41년 유다의 영주가 되고, 이듬해에는 로마의 원로원으로부터 유다 임금으로 임명을 받는다. 그리고 기원전 4년에 죽는다. 그러므로 예수님은 적어도 기원전 4년 이전에 탄생하셨다. 사정이 이러한데도 예수님을 헤로데와 관련지음으로써, 마태오는 당신 백성의 참임금이시며 구원자이신 분께서(1,21; 2,2) 불러일으키시게 될 권력자들과의 갈등을 예고한다. 마태오가 내세우는 또 다른 주제는, 선택된 민족의 권력자들이 배척한 분을 이방의 박사들, 곧 다른 민족들이 경배한다는 것이다.

2

“박사”에 해당하는 그리스 말은 메소포타미아에서 매우 중시되던 점성술이나 해몽에 능통한 현인과 사제를 가리킨다. 그래서 “점성가” 또는 “현인”으로 옮기기도 하지만, 우리는 관용적으로 “박사”로 옮긴다. 같은 그리스 말이 사도 13,6.8에도 나오는데, 거기에서는 ‘마술사, 협잡꾼’ 같은 경멸의 뜻으로 쓰인다.

3

“동방에서 그분의 별을 보고”를 “그분의 별이 떠오를 때에 그것을 보고”로 옮길 수도 있다.

4

헤로데는 백성의 종교 생활에 대해서 공적으로 책임이 있는 이들을 모두 소집한 것이다. “수석 사제들”은 전직 대사제들을 비롯하여 대사제 가문에 속한 사제들을 가리킨다. 그리스 말에서는 “대사제”와 “수석 사제”가 같은 낱말로 표현되는데, “대사제”는 단수로만 쓰이면서 현직 대사제를 가리키고 “수석 사제”는 복수로만 쓰인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이 둘을 다르게(영어에서는 “대사제”를 high priest, “수석 사제들”을 chief priests로) 옮긴다. “율법 학자”들은 정식으로 자격을 갖춘 율법 해설가이다. 21,15-17에서는 이 두 집단이 같이 예수님께 대항한다. 그러나 마태오는 수석 사제들을 백성의 원로들과 더 자주 결합시킨다(26,3.47; 27,1 등). 두 경우 다 마태오가 시사하려는 의미는 마찬가지다. 곧 예수님을 둘러싼 비극적인 사건들의 책임자는 바로 백성의 지도자들이라는 것이다.

5

메시아 대신에 그리스도로 옮기기도 한다(루카 3,15 각주 참조).

6

직역: “사실 예언자를 통하여 이렇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7

“유다 땅에 있는 베들레헴아”로 옮기기도 한다.

8

“주요 고을”에 해당하는 그리스 말은 본디 ‘지배자, 통치자, 제후’ 등을 뜻한다. 그래서 이 가운데 하나를 골라 옮기기도 한다(“너는 유다의 지배자들 가운데 결코 가장 작은 이가 아니다.”). 그러나 여기에서 유다가 하나의 인격체로(여성) 불리기 때문에, 유다 지방의 큰 고을들도 의인화한 것으로 판단하여 위와 같이 옮긴다.

9

‘보살피다’에 해당하는 그리스 말은 본디 ‘(양을) 치다’를 뜻한다. 이 인용구는 미카 5,1과 2사무 5,2를 매우 독창적으로 합성한 것이다. 이로써 마태오는 베들레헴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킨다.

10

이 “별”은 영웅의 운명을 결정한다고 고대인들이 생각하던 별들과는 다르다. 이 별의 기능은 하느님의 배려로, 동방의 박사들이 예수님을 구세주 임금으로 경배할 수 있도록 그분을 가리키는 것에 불과하다(민수 24,17도 참조).

11

메시아 시대에 주님, 또는 메시아 임금에게 많은 예물이 바쳐진다는 것에 관해서는 이사 60,6.9; 시편 68,30; 72,10 참조. 교부들은 “황금”은 왕권을, “유향”은 신성(神性)을, “몰약”은 그리스도의 수난을 가리키는 상징으로 보았다.

12

창세기의 꿈 이야기(창세 20,3-7과 31,24), 특히 야곱이 이집트로 떠나기 전에 본 꿈 이야기(창세 46,2-4) 참조. 야곱 이야기에서도 요셉의 이야기에서처럼 꿈을 통한 명령과 그 실행이라는 구조를 볼 수 있다. 사도행전에서도 이와 비슷하다(16,9; 18,9; 23,11).

13

이 인용구는, 주님께서 당신의 아들 곧 이스라엘을 이집트에서 불러내셨다고 말하는 호세 11,1이다.

14

“그리된 것이다”는 내용상 덧붙인 말이다.

15

성경 외의 문헌에는 이러한 학살에 관한 기록이 없다. 그러나 잘 알려진 대로 헤로데의 잔인한 성품을 생각할 때,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16

이 인용구는 예레 31,15의 히브리 말 본문을 조금 자유롭게 번역한 것이다. 라헬은 야곱의 부인이며 요셉과 벤야민의 어머니로서, 북 이스라엘인들의 조상으로 추앙받는다. 베들레헴은 전통적으로 이 라헬의 무덤이 있다고 여기던 곳이고, 라마는 유배로 끌려가는 이들의 집합 장소였다(예레 40,1).

17

아르켈라오스는 기원전 4년에서 기원후 6년까지 유다와 사마리아와 이두매아를 다스렸다.

18

이 말씀이 구약 성경의 어떠한 구절 또는 어떠한 예언을 인용한 것인지 알 수 없다. 사도행전에서도 예수님을 “나자렛 사람”이라고 부른다(사도 2,22 각주 참조). 이에 해당하는 그리스 말 나조래오스를 전통적으로 이렇게 옮겨 오지만, 어원적으로 풀리지 않는 문제를 안고 있다. 아무튼 마태오는 이 이름을 26,69에 나오는 “갈릴래아 사람”처럼 “나자렛 사람”으로 이해한 듯하다(21,11. 그리고 요한 1,45; 사도 10,38 참조). 그러나 마태오가 이 이름으로 나지르인(판관 13,5.7; 16,17 참조) 곧 ‘하느님께 봉헌된 이’, 더 나아가서 ‘하느님의 거룩한 이 그 자체’를 가리키고 싶어 하였을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