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두기

성경과 주석 성경은 ‘본문’에 충실한 한국 천주교회 공용 번역본이다.

일러두기

번역 대본

구약 성경의 히브리 말 부분은 슈투트가르트판 히브리 말 성경(BHS: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에 실려 있는 마소라 본문을 번역 대본으로 삼았다.

구약 성경의 그리스 말 부분은 원칙적으로 괴팅겐판 칠십인역 성경(Septuaginta: Vetus Testamentum Graecum, Auctoritate Academiae Scientiarum Gottingensis editum)을 번역 대본으로 삼았다.

신약 성경은 세계성서공회가 발행한 그리스 말 신약 성경(The Greek New Testament 4th edition, The United Bible Societies, 1993)을 번역 대본으로 삼았다.

1
성경 각 책의 순서는 새 대중 라틴 말 성경(Nova Vulgata)을 따른다.
2
우리말은 국립국어연구원(현 국립국어원)에서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삼는다.
3
외국말 고유 명사와 외래어 표기는 정부에서 발표(문교부 고시 제85-11호, 1986.1.7.)한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되, 주교회의에서 확정한 용어와 공동 번역 등 현대 성경 번역에서 널리 쓰는 관용을 폭넓게 존중하면서, 번역위원회에서 정한 원칙에 따라 음역하고 고딕체로 표기한다. 그러나 입문·각주에서는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외래어 표기법이나 번역위원회에서 정한 음역 원칙에 어긋나더라도 많은 경우 히브리 말과 그리스 말을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4
히브리 말 “야훼”는 “주” 또는 “주님”, 때에 따라서는 “하느님”으로 옮기고, 굵은 고딕체로 표기한다. 다만, 하느님께서 직접 이름을 계시하시는 곳에서는(탈출 3,15; 6,2 등) “야훼”를 그대로 썼다.
5
히브리 말 ‘기름붓다’에서 나온 특수 명사 “기름부음받은이”와 예수님을 가리키는 칭호 “사람의 아들”은 고딕체로 표기한다.
6
히브리 말, 그리스 말 도량형은 원칙적으로 음역하여 옮긴다. 부록에 제시한 도량형의 환산은 기본적으로 ‘로쿰 방식’(Ökumenisches Verzeichnis der biblischen Eigennamen nach den Loccumer Richtlinien)을 따른다.
7
한 문단에서 “너”와 “너희”가 섞여 나올 때에는, 되도록이면 “너희”로 통일하였다.
8
신약 성경의 각주에 기재한 구약 성경의 구절들이 우리 성경 본문과 다른 경우는, 기본적으로 칠십인역 성경을 바탕으로 삼은 것이다.
9
입문과 각주에서는 본문 비평에 필요한 여러 전문 용어나 특수 명칭들이 사용된다.
·히브리 말 본문 : 마소라 본문이라고도 불리는 이것은 마소렛이라는 명칭을 지닌 유다인 성경 본문 비평가들의 작업과 전승을 통하여 내려온 본문으로서, 현재는 일반적으로 11세기 초에 제작되어 상트페테르부르크(옛 레닌그라드) 공립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사본을 표준 본문으로 여긴다.
·히브리 말 수사본 : 위의 레닌그라드 사본 이외의 수사본들.
·BHS : 히브리 말 본문을 출판하면서 판면 하단에 본문 비평의 각주를 첨가한 책으로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의 준말.
·커팁 : 자음으로만 기록된 원래의 히브리 말 본문.
·커레 : 유다인 성경 본문 비평가들이 히브리 말 본문을 전승하면서 자기들의 의견을 난외에 기록한 것.
·사마리아 오경 : 사마리아인들을 통해서 전승된 모세 오경.
·쿰란 수사본 : 쿰란 유적지에서 발견된 히브리 말 성경 수사본.
·게니자 히브리 말 수사본 단편 : 카이로에 있던 유다교 회당의 게니자, 곧 전례에서 사용하던 사본들을 어떤 이유로 해서 폐기하기 전에 임시로 보관하던 창고에서 발견된 히브리 말 성경의 단편들.
·타르굼 : 구약 성경을 아람 말로 번역·설명한 것.
이 밖에도 칠십인역, 아퀼라, 심마쿠스, 테오도시온, 칠십인역 루치안 수정본과 같은 그리스 말 역본들, 그리고 시리아 말 역본, 고대 라틴 말 역본, 대중 라틴 말 성경(불가타), 예로니모 등의 고대 번역본들이 언급된다.
10
원칙적으로 참조 구절이나 난외 구절의 성경 구절은 줄여서 표기한다. 예컨대 곧 ‘창세 5’는 창세기 5장을, ‘창세 3,15’는 창세기 3장 15절을 가리킨다. 한 절이 다시 세분될 경우에는 ㄱ, ㄴ 등으로 표기한다. ‘창세 5,2ㄱ’은 창세기 5장 2절 전반부나 첫 문장(운문에서는 첫째 줄)을 뜻한다. 창세기 3장 5절부터 10절까지와 같이 절이 이어질 때는 붙임표를 써서 창세 3,5-10으로 표기하고, 창세기 4장부터 6장까지와 같이 장이 이어질 때는 줄표를 써서 창세 4―6으로 표기한다. 둘 이상의 구절이 나올 때에는 쌍반점(;)으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잠언 1,28; 아가 5,6’은 잠언 1장 28절과 아가 5장 6절이라는 말이다. 해당 책의 구절은 책 이름을 별도로 기재하지 않고 숫자로만 표기한다. 예컨대 시편에 ‘11,7; 민수 12,8’이라고 되어 있으면, 시편 11편의 7절과 민수기 12장 8절을 말한다. 한 책의 여러 구절들이 계속 나열될 경우 책 이름은 앞에 한 번만 기록하며(예: 욥 14,18; 18,4), 같은 책의 같은 장에서 두 구절 이상이 나올 때에는 절을 온점(.)으로 연결한다(예: 시편 22,3.15.24). 또한 성경의 여러 책들이 잇달아 나올 때에는, 해당 본문의 책을 맨 앞에 넣고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목차에 있는 순서에 따라 배열한다.
11
해당 구절과 비교해 볼 수 있도록 성경 본문의 왼쪽이나 오른쪽에 작은 글씨로 난외 참고 구절을 표기한다.
성경 연대표
 
1. 선사 시대
초기 구석기. (기원전)
400000
(티베리아스 호수 근처) 우베이디야에서 근동의 가장 오래된 인간의 자취 발굴.
아슐기 문화.
중기 구석기. 90000 무스테리안기 문화(카프제, 케바라).
후기 구석기. 40000 오리냑기 문화에 이어 나투피안기 문화.
신석기.

선 도자기기 A.
선 도자기기 B.
도자기기.
8500 주거지 조성 시작.
농업과 목축업.
예리코 건설.

예리코, 문하타, 텔레일랏, 엘 가술.
금석기 시대. 4300 야금술 시작(금석).
메소포타미아:수메르에 이어 아카드 왕국. 3500 설형문자 출현.
 
2. 제국 탄생
(기원전)
3300
가나안: 초기 청동기 시대.도시 출현.
이집트:고 왕국 시작, 수도 멤피스 건설. 3100 상형문자.
대 피라미드. 2600
메소포타미아: 아카드의 사르곤 제국. 2334-2154
2300 초기 청동기와 중기 청동기 사이.
이집트: 중왕국. 2100 ‘저주 문서.’
메소포타미아:우르 제3왕조. 아모리인들의 침입과 정착. 2000 중기 청동기 II(2000-1550년).
1900년부터 바빌론 제1왕조,
함무라비 치세(1792-1750년).
‘함무라비 법전’, ‘아트라 하시스 신화’, ‘길가메쉬 서사시.’
아브라함 씨족이 가나안 땅에 도착.
이집트: 중왕국과 신왕국의 중간 시대,
힉소스 시대(1730-1550년).
성조 시대
 
3. 이집트 - 가나안
이집트 연대 가나안
신 왕국(1950-1070년). (기원전)
1550
후기 청동기 I(1550-1400년).
투트모세 3세의 수차에 걸친 가나안 원정,
므기또 전투(1480년경).
‘타아낙 서판.’
1400 후기 청동기 II(1400-1200년).
아멘호테프(일명 아크나톤) 치세(1350-1334년). ‘엘 아마르나 서한.’
가나안에 이집트의 봉건 도시 국가 건설.
예루살렘의 우두머리 압디 히바 언급.
히타이트 신왕국(1450-1090년).
우가릿(=라스 사므라): 알파벳 문자(14세기).
이집트(19왕조): 세티 1세(1317-1304년).
‘바알 신화.’
람세스 2세(1304-1238년),
히타이트인들과 카데스에서 전쟁,
이어서 동맹.
1300 이집트군 가나안 주둔: ‘벳 스안 석비.’
1250
메르네프타(1238-1209년),
‘재위 5년의 석비’에서 리비아인들과 ‘이스라엘’이라 하는 종족에 대한 승리 기념.
이집트의 모세.
가나안, 특히 산악 지대에 다양한 종족들 정착.
 
4. 정치적 조직을 추구하는 지파들
이집트 · 메소포타미아 연대 팔레스티나
이집트(제20왕조): 람세스 3세(1194-1163년),
필리스티아인들을 포함한‘해양 민족들’패퇴.
(기원전)
1200
철기 시대 I(1200-1000년).
패전한 필리스티아인들이 가나안 연안 남부에 정착.
‘판관들’의 시대(1200-1030년경).
메소포타미아: 1100년경 티글랏 필에세르 1세 (1115-1077년) 치하에서 아시리아 제국 패권 장악, 이어서 아람인들의 압력으로 쇠퇴. 1100
여러 아람 왕국 탄생(다마스쿠스, 초바, 하맛).
이집트(제21왕조): 수도 타니스.
왕권 쇠약.
1050 1050년경 필리스티아인들이 아펙에서 이스라엘과 싸워 승리.
이집트: 파라오 시아문(1000-984년).
다마스쿠스: 임금 르존.
1000 벤야민 지파의 사울, 유다 지파의 다윗(1010- 970년경: 2사무 2―1열왕 2), 다윗의 아들 솔로몬(970-933년경: 1열왕 2―11)과 함께 왕정 제도 탄생.
 
5.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933-722년)
이집트 · 메소포타미아 연대 이스라엘 유다
(기원전) 철기 시대 II(1000-600년경)
이집트(제22왕조, 950-730년): 시삭 1세(950-929년), 팔레스티나 원정(므기또 석비). 예로보암 1세(933-911년), 북 왕국 창건. 르하브암(933-916년), 시삭에게 조공.
아비얌(915-913년).
나답(911-910년).
*
아사(912-871년),
바아사를 치려고 벤 하닷과 동맹.
다마스쿠스: 벤 하닷 1세. 900 바아사(910-887년).
엘라(887-886년).
*
지므리(7일천하).
*
오므리(886-875년),
수도 사마리아 건설.
아시리아: 아슈르나시르팔 2세(883-859년).
살만에세르 3세(858-824년),
아시리아 제국의 팽창 정책 재개에 맞서 반 아시리아 동맹 결성(카르카르 전투, 853년)
아합(875-853년),
페니키아 여인 이제벨과 혼인, 아람과 전쟁, 반 아시리아 동맹 가입(카르카르 전투, 853년)
여호사팟(870-846년), 아합과 동맹.
다마스쿠스: 벤 하닷 2세. 예언자 엘리야.
모압: 메사 임금(840년경 세워진 석 비에서 이스라엘과 싸워 이긴 승리 기념).
다마스쿠스: 하자엘이 벤 하닷 2세를 암살하고 등극하나 841년 살만에세르 3세에게 패함.
850 아하즈야(853-852년).
요람(852-841년),
모압 임금 메사와 싸우기 위하여 출정.
예언자 엘리사.
*
여호람(848-841년), 아합의 딸 아탈야와 혼인.
아하즈야(841년).
예후(841-814년),
하자엘에게 요르단 동쪽 땅을 빼앗기고 살만에세르 3세에게 조공(841).
아탈야(841-835년),
다윗 왕조를 위기에 빠트림.
다마스쿠스: 벤 하닷 3세. 여호아하즈(820-803년),
벤 하닷 3세와 갈등 관계.
요아스(835-796년),
사제들의 계략으로 등극하나 신하들의 모반으로 살해됨.
아시리아: 아닷 니라리 3세(810- 783년), 803년 다마스쿠스 세력 약화시킴.
[그리스에 도시국가들 출현]
800 여호아스(803-787년),
803년에 아닷 니라리 3세에게 조공을 바치지만, 벤 하닷 3세와 아마츠야와 싸워 승리.
아마츠야(811-782년),
신하들의 모반으로 살해됨.
예로보암 2세(787-747년),
이스라엘 국력 회복.
아자르야(= 우찌야, 780-740년).
아시리아: 783-745년 사이 서쪽 지방에 대한 영향력 약화.
750 예언자 아모스와 호세아. 750년 요탐 집정.
즈카르야(747년).
*
다마스쿠스: 르친.
아시리아: 티글랏 필에세르 3세 (747-727년), 정복한 국가들 병합, 주민 강제 이주(732년 다마스쿠스 등), 729년 풀이라는 이름으로 바빌론 왕권 인수.
살룸(747-746년).
*
므나헴(746-737년),
737년에 티글랏 필에세르 3세에게 조공.
프카흐야(736-735년).
*
요탐(740-735년).
예언자 이사야와 미카.
페카(735-732년),
아하즈에게 맞서 르친과 동맹, 왕국의 일부가 티글랏 필에세르 3세에게 합병 (734-733년).
*
아하즈(735-716년?),
페카와 르친에게 맞서 티글랏 필에세르 3세에게 원병 요청, 티글랏 필에세르 3세에게 조공.
살만에세르 5세(726-722년). 호세아(732-724년),
이집트와 동맹 시도, 사마리아 포위됨.
728년경 히즈키야 집정.
사르곤 2세(722-705년). 722년 사마리아 함락, 주민 유배, 북 이스라엘 왕국의 종말.
 
6. 예루살렘 함락까지의 유다 왕국
이집트 · 메소포타미아 연대 유다
아시리아: 사르곤, 711년 아스돗 점령.
바빌론: 721-711년 므로닥 발아단의 지휘 아래 아시리아의 지배에서 벗어나려 시도.
(기원전) 히즈키야(716-687년: 2열왕 18―20),
아시리아로부터 독립 시도, 바빌론(므로닥 발아단이 보낸 사절)과 이집트와 접촉, 예루살렘 요새화(‘실로암 지하 수로 비문’), 입법서.
이집트: 제25왕조(누비아 왕조),
샤바카(715?-696년).
티르하카(690년경 집정, 685-664년 재위).
아시리아: 산헤립(704-681년),
701년 히즈키야를 포함한 서쪽의 반아시리아 동맹 세력을 제압하러 원정.
700 701년 산헤립 원정, 예루살렘 포위, 히즈키야가 산헤립에게 조공.
예언자 이사야 활동(후기).
아시리아: 에사르 하똔(680-669년),
671년경 북부 이집트 점령.
므나쎄(687-642년),
아시리아에 항복.
예언자 나훔.
아시리아: 아슈르바니팔(668-630/626년),
니네베에 도서관 건립, 650년경 이집트 제26왕조의 프삼메티쿠스에게 격퇴.
바빌론: ‘신바빌론’ 왕국(626-539년).
바빌론인들(나보폴라사르)과 메디아인들 (키아카레스)이 니네베를 파괴하고(612년) 아시리아 제국을 멸망시킴(606년).
650 아몬(642-640년).
요시야(640-609년: 2열왕 22,1―23,30),
아시리아의 패권 거부,
신명기의 노선에 따라 종교 개혁,
예루살렘 성전의 중심 역할,
파라오 느코와의 전투에서 패전하고 전사. 예언자 스바니야.
여호아하즈(609년),
재위 삼 개월 만에 느코에게 폐위되고 그의 동생 여호야킴 즉위
바빌론: 네부카드네자르(605-562년),
605년 카르크미스에서 이집트 파라오 느코 (609-594년)의 군대를 쳐 이기고 옛 아시리아 제국 장악.
600 여호야킴(609-598년),
605년부터 바빌론에 종속,
602년경 반기.
예언자 예레미야와 하바쿡.
여호야킨(598-597년: 2열왕 24,8-17),
네부카드네자르가 예루살렘 포위, 예루살렘 항복, 에제키엘을 포함한 주민 제1차 유배, 임금 유배.
요시야의 아들 치드키야(597-587년).
593년경 예언자 에제키엘 활동 전개.
589년 치드키야가 바빌론에 반기.
588-587년: 네부카드네자르가 티로 포위, 13년 동안 지속.
[563년: 석가 출생]
[551년경: 공자 출생]
588년: 예루살렘 포위 시작, 예레미야 체포.
587년 7-8월: 예루살렘 함락, 치드키야 체포, 성전 파괴(2열왕 25,8-21), 주민 제2차 유배, 9/10월에 총독 그달야 피살.
582-581년: 제3차 유배.
561년: 바빌론의 에윌 므로닥이 여호야킨 임금을 사면.
 
7. 페르시아 시대(538-333년)
페르시아 연대 유다
페르시아의 키루스 임금(551-529년) 539년 바빌론 점령. (기원전)
550
538년: 바빌론의 유다인들이 세스바차르의 인도 아래 예루살렘으로 귀환하도록 허락하는 키루스의 칙령 반포.
캄비세스(530-522년). 제단 복구.
다리우스(522-486년),
마라톤 전투(490년)에서 그리스 군에 패배.
[510년: 로마 공화 제도 채택].
520-515년: 예루살렘 성전 재건. 총독 즈루빠벨과 대사제 예수아 활약.
예언자 하까이와 즈카르야.
500
크세르크세스 1세(496-464년),
살라미스 해전(480년)에서 그리스 군에 패배.
[469년: 소크라테스 출생]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464-424년).
450
445-432년: 느헤미야의 예루살렘 체류.
[429년: 플라톤 출생]
크세르크세스 2세(423년).
다리우스 2세(423-404년).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 므네몬(404-359년). 440-400년: 나일 강 상류 이집트에 정착한 유다인들과 서신 교환(‘엘레판틴 파피루스’).
[384년: 아리스토텔레스 출생]
[372년: 맹자 출생]
400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오코스(359-338년).
아르세스(338-336년).
다리우스 3세 코도마누스(336-331년).
알렉산드로스 대제,
소아시아, 시리아, 이집트, 페르시아, 인도 정벌.
350 398(458?)년: 에즈라가 예루살렘에서 입법 활동,
토라 형성.
 
8. 헬레니즘 시대(333-63년)
(기원전) 332년: 알렉산드로스 군대가 팔레스티나 정복.
323년: 알렉산드로스가 바빌론에서 병사하자 휘하 장수들이 제국을 분할 통치, 이후 이집트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가, 시리아와 바빌론은 셀레우코스 왕조가 다스림.
이집트 시리아 연대 유다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323-282년).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311-281년).
320-200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가 팔레스티나 통치.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포스(282-246년).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281-261년).
300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261-246년).
250 알렉산드리아에서 토라가 그리스 말로 번역(‘오경’).
프톨레마이오스 3세
에우에르게테스(246-222년).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코스(246-225년).
프톨레마이오스 4세
필로파토르(222-205년).
안티오코스 3세
대제 (223-187년).
[218-210년: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로마인들이 한니발을 제압하고 에스파냐와 지중해 섬들 차지]
프톨레마이오스 5세
에피파네스(204-180년).
200년: 안티오코스 3세가 파네이온에서 프톨레마이오스 5세의 장군 스코파스를 패퇴시킴. 200 200-142년: 셀레우코스 왕조가 팔레스티나 통치.
프톨레마이오스 6세
필로메토르(180-145년).
셀레우코스 4세
필로파토르(187-175년).
유다인들과 셀레우코스 왕조의 통치자들 사이에 갈등 시작.
예루살렘의 수석 사제들 사이의 알력.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175-164년),
이집트 원정.
167년: 유다교의 경신례를 금하는 법령, 안티오코스 4세가 예루살렘 성전을 올림피아의 제우스 신에게 헌정, 사제 마타티아스(그 집안 이름이 하스몬)의 주도로 유다인들이 항전 전개.
166년: 마카베오라 불리는 마타티아스의 아들 유다가 항전 계승(166-160년).
안티오코스 5세
에우파토르(164-161년).
164년: 성전을 되찾고 정화(성전봉헌 축제 거행).
‘다니엘서’
데메트리오스 1세
소테르(162-150년)
셀레우코스 왕조에 대한 항전 계속, 시리아 장수 니카노르 무찌름(‘니카노르의 날’ 축제 거행).
160년: 유다 마카베오 죽음.
[150-146년: 제3차 포에니 전쟁으로 카르타고가 로마인들에게 멸망하고, 그리스는 로마 제국의 속주로 전락] 150
알렉산드로스 발라스
(150-145년).
160-143년: 유다의 막내 형제 요나탄 (152년에 대사제로 임명)이 항전 계승, 주변을 정복하여 유다인들의 영토 확장.
프톨레마이오스 7세
피스콘(145-116년)
데메트리오스 2세
니카토르(145-138년).
143-134년: 요나탄의 둘째 형 시몬이 항전 계승(142년에 대사제 겸 총독으로 임명).
안티오코스 6세 (144-142년).
트리폰(142-138년).
안티오코스 7세
시데테스(138-129년).
142-63년: 유다 독립 쟁취(하스몬 왕조).
시몬의 아들 요한 히르카노스(134-104 년), 사마리아 성전 파괴.
왕국이 쇠퇴하여 무정부 상태. 요한 히르카노스의 아들 아리스토불로스 1세(104-103년)가 왕이라는 칭호 사용.
아리스토불로스 1세의 동생 알렉산드로스 얀내오스(103-76년).
100 알렉산드로스의 아내 알렉산드라(76-67년)
알렉산드라의 아들 히르카노스 2세와 아리스토불로스 2세가 왕직과 대사제직을 놓고 다툼.
64년: 로마 제국의 장수 폼페이우스가 안티오키아에서 시리아를 로마제국의 속주로 병합. 63년: 로마 제국의 장수 폼페이우스가 예루살렘 점령.
 
9. 로마 시대(기원전 63년 이후)
로마 유다
(기원전) (기원전)
[57년: 신라 건국(삼국사기)]
50년:
팔레스티나의 혼란스러운 정황.
히르카노스 2세가 대사제직을 수행하지만 나라는 그의 대신으로 이두매아 출신인 안티파테르가 다스림
44년:
카이사르 살해
40-31년:
안토니우스가 동방을, 옥타비아누스가 서방을 통치
40년:
파르티아의 침입.
아리스토불로스 2세의 아들 안티고노스가 왕직과 대사제직 수행, 국내 갈등 심화.
[37년: 고구려 건국(삼국사기)] 37년:
안티파테르의 아들 헤로데 대왕이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기원전 4년까지 통치.
31년:
옥타비아누스가 악티움 해전에서 안토니우스 격퇴.
29년:
옥타비아누스 황제가 (27년부터는 아우구스투스라는 이름으로) 기원후 14년까지 통치.
시리아가 로마제국의 속주로 편입.
24년:
헤로데가 로마로부터 트라코니티스, 바타내아, 아우라니티스, 그리고 파네아스 통치권을 위임받음.
20년 겨울-19년:
예루살렘 성전 개축 개시.
[18년: 백제 건국(삼국사기)]
10년(?)경:
제국의 인구 조사에 관한 다양한 정보.
9-6년:
시리아 총독 센티우스 사투르니누스.
7-6년경(?):
예수님 탄생.
6-4년:
시리아 총독 퀸틸리우스 바루스.
4년 3월말-4월초:
예리코에서 헤로데 사망.
4년 파스카 축제(4월 11일):
아르켈라오스가 예루살렘에서 소요 진압하고 왕으로 임명되기 위하여 로마 방문.
4년:
갈릴래아 출신 유다와(사도 5,37 참조) 바리사이인 차독(열혈당원 출신, 마태 22,17 참조)의 독립 운동
4년말: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헤로데의 유언을 추인하나 그의 아들 아르켈라오스에게 왕이라는 칭호 불허.
기원전 4년-기원후 6년:
유다와 사마리아의 영주 아르켈라오스.
기원전 4년-기원후39년:
갈릴래아와 페래아의 분봉왕 헤로데 안티파스.
기원전 4년-기원후 34년:
골란, 바타내아, 트라코니티스, 아우라니티스, 이투래아 지방의 분봉왕 필리포스.
(기원후) (기원후)
6년: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아르켈라오스를 페위시켜 현 프랑스의 비엔으로 유배 보냄.
5-10년 사이:
타르수스에서 바오로 탄생.
6-41년:
유다는 (카이사리아를 수도로) 지방 행정관 (신약 성경에서는 흔히 ‘총독’이라 부름)이 직접 통치하는 속주로 승격.
6년:
요세푸스에 따르면 시리아 총독은 퀴리니우스(?).
14년 8월 19일: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사망하고 티베리우스(14-37년)가 즉위.
15-26년:
유다 총독 발레리우스 그라티우스.
26-36년:
유다 총독 본시오 빌라도.
27년경:
아레타스의 딸과 혼인하였던 헤로데 안티파스가 이복동생의 아내 헤로디아와 혼인.
27년 가을:
세례자 요한의 설교와 예수님의 공생활 시작(루카 3,2 참조)
28년 파스카 축제:
예수님의 예루살렘 방문(요한 2,13).
29년:
세례자 요한 참수.
30년 4월 7일 금요일:
예수님의 십자가상 죽음.
30년 또는 31년 오순절:
예루살렘에 첫 공동체 설립(사도 2,42).
33-34년:
필리포스 분봉왕이 후손 없이 죽자 티베리우스 황제가 그의 영지를 시리아 속주에 편입.
36년 가을:
본시오 빌라도 로마로 소환.
36년 겨울-37년(?):
스테파노 순교, 공동체 일부 흩어짐, 곧이어 바오로의 회심.
37-41년:
황제 칼리굴라, 유다 총독 마르켈루스.
37년:
칼리굴라 황제가 아리스토불로스의 아들 아그리파스 1세에게 왕이라는 칭호와 함께 필리포스와 리사니아스의 영토 하사(37-44년).
39년경:
바오로가 다마스쿠스를 탈출하여(2코린 11,32 이하) 처음으로 교회의 책임자들을 방문(갈라 1,18 이하).
41-54년:
황제 클라우디우스.
클라우디우스가 로마에서 자기의 즉위에 일조한 아그리파스 1세에게 유다와 사마리아 하사.
그의 형 헤로데가 칼키스의 임금이 되고(41-48년) (아그리파스의 딸) 베르니케와 혼인
43년경:
바오로와 바르나바가 헬레니즘 세계 그리스도교의 중심이 된 안티오키아 방문.
43년 또는 44년:
파스카 축제 전에 아그리파스 1세가 요한 사도의 형 야고보(일명 대 야고보)를 참수.
44년 봄:
헤로데 아그리파스 1세가 죽자 유다는 총독이 직접 다스리는 속주로 복귀(44-66년).
44-46년:
유다 총독 쿠스피우스 파두스.
46-48년:
유다 총독 티베리우스 알렉산드로스.
48-52년:
유다 총독 벤디디우스 쿠마누스.
48년경:
유다에 기근.
48-53년:
아그리파스 1세의 아들 아그리파스 2세가 칼키스의 왕으로 다스림
48-49년:
예루살렘 사도 회의(사도 15,5 이하).
49년:
클라우디우스 황제가 “크레스토스의 사주로 소요를 일으킨 유다인들을 로마에서 추방하다”(수에토니우스). 사도 18,2 참조.




(51년)52년:
세네카의 형 갈리오가 그리스 남부 아카이아의 총독으로 임명.
50-52년:
바오로의 제2차 선교 여행.
50년 겨울부터 52년 여름까지 코린토 체류.
51년 ‘테살로니카서’.
52년 봄 갈리오 앞에 출두(사도 18,12 각주).
52년 여름 예루살렘 방문에 이어(사도 18,22) 안티오키아 도착.
50-60년:
유다 총독 안토니우스 펠릭스.
펠릭스는 노예였다가 자유민이 된 팔라스의 형제로서 아그리파스 2세의 누이 드루실라와 혼인(사도 24,24 참조).
53년:
클라우디우스 황제는 아그리파스 2세에게 칼키스 대신 필리포스와 리시니아스의 영지를 하사 (53-93년).
54-68년:
황제 네로.
55년:
네로 황제는 아그리파스의 왕국에 갈릴래아와 페래아의 일부를 보태 줌.
53-58년:
바오로의 제3차 선교여행(사도 18,23 각주). 아폴로가 에페소에 이어 코린토에서 선교.
54-57년:
갈라티아와 프리기아를 거쳐 에페소에 도착한 다음 2년 3개월 동안 체류.
56년(?):
‘고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과 ‘갈라티아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56-57년:
‘필리피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57년 겨울-58년:
코린토 체류(사도 20,3. 그리고 1코린 16,6 참조). ‘로마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58년 파스카 축제:
필리피 체류에 이어(사도 20,6) 선편으로 카이사리아 도착.
58년 여름:
주님의 형제 야고보가 예루살렘의 유다계 그리스도인 공동체 이끎.
58년 오순절:
바오로가 성전에서 체포되어 대사제 하나니아스와 최고의회에 출두.
카이사리아로 압송되어 펠릭스 앞에 출두.
58-60년:
바오로가 카이사리아에서 미결수로 옥살이.
60-62년:
유다 총독 포르키우스 페스투스.
60년:
바오로가 페스투스 앞에 출두하여 황제에게 상소, 아그리파스 2세와 그의 누이 베르니케 앞에서 자기 변론.
60년 가을:
수인 바오로가 로마로 압송 중 바다에서 폭풍을 만나 몰타섬에서 겨울 맞음.
61-63년: 바오로가 로마에서 가택 연금 상태로 사도직 수행.
‘콜로새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에페소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필레몬에게 보낸 서간.’
62-64년:
유다 총독 루케유스 알비누스.
62년:
대사제 한나스가 주님의 형제 야고보를 돌로 쳐 처형하자 시몬이 뒤를 이어 예루살렘 교회를 이끎(에우세비우스).
64년 7월:
로마 화재와 그리스도교 박해.
64-66년:
유다 총독 게시우스 플로루스.
64년경:
‘베드로의 첫째 서간.’
64(또는 67)년:
로마에서 베드로 순교.
65-70년 사이:
‘마르코 복음서.’
66-67년:
네로가 베스파시아누스와 그의 아들 티투스에게 팔레스티나의 질서 회복을 명함.
66년 여름:
플로루스가 유다인들을 십자가에 처형. 카이사리아와 전국에서 소요 사태.
66년 9월:
예루살렘에 반로마 제국 정부 수립.
67년:
베스파시아누스가 갈릴래아 지방 정복.
68년 4월:
황제 갈바.
68년 6월:
네로 자살.
68년:
베스파시아누스가 지중해 변 평원과 요르단 계곡 점령(쿰란 파괴).
69-70년:
황제 베스파시아누스.
티투스에게 예루살렘 포위를 명함.
69년:
베스파시아누스가 유다 지방 평정. 무력 독립 세력들이 예루살렘, 나아가 헤로디온, 마싸다, 마케루스 요새에서 항전 계속.
70년 파스카 축제:
티투스가 네 개의 군단으로 예루 살렘 포위.
70년말:
유다 지방이 황제의 속주가 되고 카이사리아 지방은 로마의 식민지가 됨.
70년 8월 29일:
예루살렘 성전의 안뜰이 점령되고 불에 탐.
71-72년:
유다 총독 루킬리우스 바수스.
71년 여름:
베스파시아누스와 티투스의 로마 개선
(‘티투스의 개선문’).
73년:
유다 총독 플라비우스 실바.
73년 파스카 축제:
실바가 마싸다를 포위하자 엘아자르와 동료들은 항복보다 집단 자결 택함.
라삐 요하난 벤 사카이가 야브네(=얌니아)에 학원 설립.
79-81년:
황제 티투스.
80년경:
‘마태오 복음서’, ‘루카 복음서’, ‘사도행전.’
81-96년:
황제 도미티아누스(티투스의 동생).
80-90년 사이:
‘요한 복음서’와 ‘요한 서간.’
95년경:
‘요한 묵시록.’
96-98년
황제 네르바.
98-117년:
황제 트라야누스.
111년에 그리스도교가 불법이라는 칙령 반포.
이후 130년에는, 제2차 동방 여행에 나선(128-134년)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예루살렘에 들러 그곳을 Aelia Capitolina라는 이름으로, 성전은 유피테르를 위한 신전으로 재건할 것을 명한다. 131-135년에 제2차 유다 독립 항쟁이 일어나지만, 134년에 예루살렘이 다시 함락된다. 이듬해 예루살렘이 Aelia Capitolina라는 새 이름으로 재건되고, 골고타와 예수님의 무덤 터에는 사랑과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신전이, 성전 터에는 유피테르와 그의 아내 유노, 지혜와 무용(武勇)의 여신 미네르바의 신전이 세워진다. 그리고 유다인들에게는 도시 입성이 엄금된다.
성경 도량형
  단위 비율 환산 비고
1. 부피 에파 1 약 40리터
1 약 40리터
코르 10 약 400리터
호메르 10 약 400리터
레텍 5 약 200리터
스아 1/3 약 13리터
1/6 약 6.5리터
오메르 1/10 약 4리터
1/18 약 2.2리터
1/72 약 0.5리터
2. 길이 암마 약 46센티미터
페키스 약 46센티미터
스타디온 185미터
3. 무게와 화폐 세켈 1 약 11.5그램
탈렌트 3600 약 41100그램
미나 60 약 685그램
게라 1/20 약 0.6그램
드라크마 1 그리스 은화
데나리온 1(하루 품삯) 로마 은화
다릭 20 페르시아 금화
스타테르 4 그리스 은화
콰드란스 1/64 로마 동전
렙톤 1/144 그리스 동전
1

참고 자료마다 차이가 있는데, 여기서는 로쿰 방식을 따랐다(‘일러두기’ 참조).

2

기준 단위를 1로 하여 각 도량형의 비율을 계산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에파를 기준 단위로 할 때 1코르는 10에파에 해당한다.

성경 약어
 
구약
성경 공동번역 성서
오경 창세기 창세 창세기 창세
탈출기 탈출 출애굽기 출애
레위기 레위 레위기 레위
민수기 민수 민수기 민수
신명기 신명 신명기 신명
역사서 여호수아기 여호 여호수아 여호
판관기 판관 판관기 판관
룻기 룻기 룻기
사무엘기 상권 1사무 사무엘상 1사무
사무엘기 하권 2사무 사무엘하 2사무
열왕기 상권 1열왕 열왕기상 1열왕
열왕기 하권 2열왕 열왕기하 2열왕
역대기 상권 1역대 역대기상 1역대
역대기 하권 2역대 역대기하 2역대
에즈라기 에즈 에즈라 에즈
느헤미야기 느헤 느헤미야 느헤
토빗기 토빗 토비트 토비
유딧기 유딧 유딧 유딧
에스테르기 에스 에스델 에스
마카베오기 상권 1마카 마카베오상 1마카
마카베오기 하권 2마카 마카베오하 2마카
시서와 지혜 욥기 욥기 욥기
시편 시편 시편 시편
잠언 잠언 잠언 잠언
코헬렛 코헬 전도서 전도
아가 아가 아가 아가
지혜서 지혜 지혜서 지혜
집회서 집회 집회서 집회
예언서 이사야서 이사 이사야 이사
예레미야서 예레 예레미야 예레
애가 애가 애가 애가
바룩서 바룩 바룩 바룩
에제키엘서 에제 에제키엘 에제
다니엘서 다니 다니엘 다니
호세아서 호세 호세아 호세
요엘서 요엘 요엘 요엘
아모스서 아모 아모스 아모
오바드야서 오바 오바디야 오바
요나서 요나 요나 요나
미카서 미카 미가 미가
나훔서 나훔 나훔 나훔
하바쿡서 하바 하바꾹 하바
스바니야서 스바 스바니야 스바
하까이서 하까 하깨 하깨
즈카르야서 즈카 즈가리야 즈가
말라키서 말라 말라기 말라
 
신약
성경 공동번역 성서
복음서 마태오 복음서 마태 마태오의 복음서 마태
마르코 복음서 마르 마르코의 복음서 마르
루카 복음서 루카 루가의 복음서 루가
요한 복음서 요한 요한의 복음서 요한
사도행전 사도행전 사도 사도행전 사도
서간서 로마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로마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 로마
코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첫째 서간 1코린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1고린
코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둘째 서간 2코린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 2고린
갈라티아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갈라 갈라디아인들에게 보낸 편지 갈라
에페소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에페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 에페
필리피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필리 필립비인들에게 보낸 편지 필립
콜로새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콜로 골로사이인들에게 보낸 편지 골로
테살로니카 신자들에게 보낸 첫째 서간 1테살 데살로니카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1데살
테살로니카 신자들에게 보낸 둘째 서간 2테살 데살로니카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 2데살
티모테오에게 보낸 첫째 서간 1티모 디모테오에게 보낸 첫째 편지 1디모
티모테오에게 보낸 둘째 서간 2티모 디모테오에게 보낸 둘째 편지 2디모
티토에게 보낸 서간 티토 디도에게 보낸 편지 디도
필레몬에게 보낸 서간 필레 필레몬에게 보낸 편지 필레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서간 히브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편지 히브
야고보 서간 야고 야고보의 편지 야고
베드로의 첫째 서간 1베드 베드로의 첫째 편지 1베드
베드로의 둘째 서간 2베드 베드로의 둘째 편지 2베드
요한의 첫째 서간 1요한 요한의 첫째 편지 1요한
요한의 둘째 서간 2요한 요한의 둘째 편지 2요한
요한의 셋째 서간 3요한 요한의 셋째 편지 3요한
유다 서간 유다 유다의 편지 유다
묵시록 요한 묵시록 묵시 요한의 묵시록 묵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