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석 성경 > 야고보 서간

1장

인사

1

하느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종 야고보가1) 세상에 흩어져 사는 열두 지파에게2) 인사합니다.

믿음과 시련과 지혜

2

나의 형제 여러분, 갖가지 시련에3) 빠지게 되면 그것을 다시없는 기쁨으로 여기십시오.

3

여러분도 알고 있듯이, 여러분의 믿음이 시험을 받으면 인내가 생겨납니다.4)

4

그 인내가 완전한 효력을 내도록 하십시오. 그리하면 모든 면에서 모자람 없이 완전하고5) 온전한 사람이 될 것입니다.

5

여러분 가운데에 누구든지 지혜가6) 모자라면 하느님께 청하십시오.7) 하느님은 모든 사람에게 너그럽게8) 베푸시고 나무라지 않으시는 분이십니다. 그러면 받을 것입니다.

6

그러나 결코 의심하는 일 없이 믿음을 가지고 청해야 합니다. 의심하는 사람은 바람에 밀려 출렁이는 바다 물결과 같습니다.

7

그러한 사람은 주님에게서 아무것도 받을 생각을 말아야 합니다.

8

그는 두 마음을 품은 사람으로9) 어떠한 길을 걷든 안정을 찾지 못합니다.

가난한 이와 부자

9

비천한 형제는 자기가 고귀해졌음을 자랑하고,

10

부자는 자기가 비천해졌음을 자랑하십시오.10) 부자는 풀꽃처럼 스러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11

해가 떠서 뜨겁게 내리쬐면, 풀은 마르고 꽃은 져서 그 아름다운 모습이 없어져 버립니다. 이와 같이 부자도 자기 일에만 골몰하다가 시들어 버릴 것입니다.

시련과 유혹

12

시련을 견디어 내는 사람은 행복합니다.11) 그렇게 시험을 통과하면, 그는 하느님께서12) 당신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약속하신 생명의 화관을 받을 것입니다.

13

유혹을 받을 때에 “나는 하느님께 유혹을 받고 있다.” 하고 말해서는 안 됩니다. 하느님께서는 악의 유혹을 받으실 분도 아니시고, 또 아무도 유혹하지 않으십니다.

14

사람은 저마다 자기 욕망에 사로잡혀 꼬임에 넘어가는 바람에 유혹을 받는 것입니다.13)

15

그리고 욕망은 잉태하여 죄를 낳고, 죄가 다 자라면 죽음을 낳습니다.14)

16

나의 사랑하는 형제 여러분, 착각하지 마십시오.

17

온갖 좋은 선물과 모든 완전한 은사는 위에서 옵니다. 빛의 아버지에게서15) 내려오는 것입니다. 그분께는 변화도 없고 변동에 따른 그림자도 없습니다.16)

18

하느님께서는 뜻을 정하시고 진리의 말씀으로17) 우리를 낳으시어, 우리가 당신의 피조물 가운데 이를테면 첫 열매가 되게 하셨습니다.

말씀을 듣고 실천하는 일

19

나의 사랑하는 형제 여러분, 이것을 알아 두십시오. 모든 사람이 듣기는 빨리 하되, 말하기는 더디 하고 분노하기도 더디 해야 합니다.

20

사람의 분노는 하느님의 의로움을18) 실현하지 못합니다.

21

그러므로 모든 더러움과 그 넘치는 악을 다 벗어 버리고19) 여러분 안에 심어진 말씀을 공손히20) 받아들이십시오. 그 말씀에는 여러분의 영혼을 구원할 힘이 있습니다.

22

말씀을 실행하는 사람이 되십시오. 말씀을 듣기만 하여 자신을 속이는 사람이 되지 마십시오.

23

사실 누가 말씀을 듣기만 하고 실행하지 않으면, 그는 거울에 자기 얼굴 모습을 비추어 보는 사람과 같습니다.

24

자신을 비추어 보고서 물러가면, 어떻게 생겼었는지 곧 잊어버립니다.

25

그러나 완전한 법 곧 자유의 법을21) 들여다보고 거기에 머물면, 듣고서 잊어버리는 사람이 아니라 실천에 옮겨 실행하는 사람이 됩니다. 그러한 사람은 자기의 그 실행으로 행복해질 것입니다.

26

누가 스스로 신심이 깊다고 생각하면서도 제 혀에 재갈을 물리지 않아 자기 마음을 속이면,22) 그 사람의 신심은 헛된 것입니다.

27

하느님 아버지 앞에서 깨끗하고 흠 없는 신심은, 어려움을 겪는 고아와 과부를 돌보아 주고,23) 세상에24) 물들지 않도록 자신을 지키는 것입니다.

주석
1

첫머리에서부터 예수님께 부여된 “주”라는 칭호는 이 서간이 그리스도인에게서 유래함을 가리킨다. 그러나 이 칭호가 예수님과 결합된 형태로는 2,1에서만 한 번 더 쓰인다(5,14-15에서는 그냥 “주님”만 나온다). “주님”이 쓰인 다른 경우에는(1,7; 3,9; 4,10.15; 5,4.10.11) 하느님 아버지를 일컫는다.야고보도 바오로와(로마 1,1; 필리 1,1) 신약 성경의 다른 저자들처럼(2베드 1,1; 유다 1) 자신을 “예수 그리스도의 종”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사도”라는 칭호는 덧붙이지 않는다(1코린 15,7 참조). 한편 유다와 달리, 야고보서 필자는 틀림없이 널리 알려져 있었을 자기의 구체적인 신원을 더 이상 밝히지 않는다.

2

“세상에 흩어져 사는”의 직역: “디아스포라에 (사는).” 유다인들의 이 전문 용어는 1베드 1,1에도 나오는데, 여기에서는 더 넓은 의미로 쓰인다. 곧 팔레스티나 땅 밖 여기저기 흩어져 사는 “열두 지파” 출신 유다인들의 회당에 소속되어 있던 그리스도인들을 가리킨다. 여기에는 또한 같은 지방에 사는 일부 유다인까지 포함될 것이다. 이 서간에서는 앞으로 수신인을 “형제들”이라고 부르는데, 이들은 “회당”에 모이기도 하고(2,2와 각주) 함께 “교회”를 구성하기도 한다(5,14).

3

2절과 12절에서 “시련”은 밖에서 오는 도전이나 적대 행위를 가리킨다. 13-14절에서도 같은 어근에서 나오는 낱말들이 쓰이는데, 거기에서는 각 인간의 내적 욕망에서 오는 “유혹”을 뜻한다. 하느님께서는 사람을 유혹하지 않으신다(마태 6,13 참조). 그러나 시련은 하느님께서 그리스도인들을 교육시키시는 한 과정이다(4절; 2,21; 5,11 참조).

4

직역: “여러분도 알고 있듯이, 여러분의 믿음의 시험은 인내를 자아냅니다.” 비슷한 말이 로마 5,3-4에도 나온다(2베드 1,5-7도 참조). 야고보는 여기에서 유다교와 그리스도교에 공통된 교훈을 말한다. “시련”은 당사자의 “믿음”이 어떠한지를 드러내는 “시험”이다. 그리스도인은 역경을 겪으면서도 인내로 믿음의 완전한 열매를 내놓는다(12절; 5,11; 루카 8,13-15 참조).

5

‘완전하다’에 관해서는 3,2 각주 참조.

6

“지혜”에 관해서는 3,13 각주 참조.

7

청하는 것에 관해서는 4,2-3 참조.

8

“너그럽게”에 해당하는 그리스 말 부사는 “순수하게”의 뜻도 지닌다(그리스 말에서 어근이 같은 명사가 로마 12,8; 2코린 11,3; 콜로 3,22에서 “순수한 마음”의 뜻으로 쓰인다). 하느님께서는 조건을 내세우시거나 미리 따지시는 일 없이 “너그럽게” 또는 “순수하게” 베푸신다는 것이다. 이렇게 순수하신 하느님은 마음이 둘로 갈라진 인간과 대조를 이루신다(8절; 집회 20,14-15 참조).

9

‘두 마음을 품는다는 것’은, 하느님 또는 다른 사람에 대한 이중성을 의미한다. 이 표현이 야고보서 이전의 신약 성경에는 나오지 않지만, 야고보서 이후의 교회 교훈 문학에서는 자주 쓰인다. 그러나 이중적 마음의 표상은 유다교에까지 거슬러 올라가고(예컨대 쿰란의 ‘규칙서’ 4,13-16 참조), 특히 마태오 복음서에서 단죄되는 위선과 맞닿는다(마태 6,2.5.16; 15,7; 23 참조). 야고보서의 이 표현은 믿음과 기도와 행동에서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하느님에 대한 사랑과 세상에 대한 사랑 사이에서 일종의 타협을 하려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10

9-10절은 그리스도교 공동체 내의 사회적 불평등을 시사한다(2,1-7; 5,1-6; 1코린 1,26-29; 11,21-22 참조). 부자가 비천해졌다는 것은 그리스도인이 됨으로써 지금까지 속해 있던 계층에서 받아 왔던 사회적 인정을 더 이상 누리지 못함을, 신자 공동체의 일원이 됨으로써 자기 재산의 일부를 희생해야 함을 뜻한다. 고귀함과 비천함이 뒤바뀌는 것은 종말론적인 전망에서 뚜렷이 드러난다. 비천한 이는 약속받은 구원으로 이미 지금부터 영광스럽게 되고, 부자는 더 이상 덧없는 재물을 가지고 자랑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5,1-3 참조).

11

“시련” 대신에 “유혹”으로 옮기기도 한다(2절 각주 참조). 이 ‘행복 찬양’은 구약 성경의 도덕적 교훈에서 쓰이는 전통적 양식을 따른다. 곧 하느님의 길을 따르는 이에게 행복을 약속하는 것이다(25절 참조). 신약 성경에서는 이 행복이 특별히 시련을 극복하는 이들에게 약속된 종말론적 생명 곧 영원한 생명을 가리킨다(5,11; 마태 5,10-20; 루카 12,37-38; 1베드 3,14; 4,14; 묵시 14,13; 16,15 참조).

12

그리스 말 본문에는 “하느님께서” 대신에 “그분께서”로만 되어 있다. 일부 수사본들에는 “주님께서”로 되어 있고 또 다른 수사본들에는 “하느님께서”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주님”도 하느님을 가리킨다.

13

하느님께서는 사람을 유혹하실 수가 없다. 유혹의 목적인 악과 관계가 없으시기 때문에, 악을 저지르도록 사람을 유도하실 수가 없는 것이다(집회 15,11-13 참조). 이 “욕망”은 인간 내부에서 서로 싸움을 벌이는 여러 가지 욕구와 가까운 것으로(4,1-2), 당시의 유다교에서 말하는 ‘악의 성향’이나 쿰란 공동체의 문헌(규칙서 3,18─4,26)에 나오는 ‘타락과 암흑의 영’과 똑같은 역할을 한다(로마 7,7-8; 1요한 2,16-17 참조). 이러한 관점은 결국 보이지 않는 두 힘(4,4의 하느님과 세상; 4,7의 하느님과 악마) 사이에서 갈라진 죄 많은 인간의 역사와 관련된다.

14

로마 5,12; 6,23; 7,13에서도 “죄”와 “죽음”의 관계가 비슷한 말로 설명된다. 그러나 야고보서에서는 죄가 바오로의 서간에서처럼 사람 밖에서 오는 어떤 힘이 아니라, 잘못 그 자체이다(2,9; 4,17; 5,15-16.20). 그리고 “죽음”은 단순히 육체적인 것이 아니라 종말론적 죽음을 일컫는다. 이 죽음은, “진리의 말씀”(18절)으로 믿는 이들 안에 이미 시작되었고 하느님께서 당신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약속하신(12절) 생명과 반대되는 것이다.

15

“빛의 아버지”의 직역: “빛들의 아버지.” 하느님은 “주님”(7절)이시며 “아버지”(27절; 3,9)로서, 유다교에 이어 그리스도교에서도 믿음을 고백하는 유일하신 하느님이시다(2,19. 그리고 4,12 참조). 이 하느님께서는 또한 “빛들” 곧 천체를 창조하셨기에 “빛의 아버지”이기도 하시다(창세 1,14-18 참조. 그러나 이 칭호는 하느님과 관련해서 ‘모세의 묵시록’이라는 외경의 아르메니아 말 역본에만 나온다. 쿰란의 ‘규칙서’ 3,20에서는 빛의 제후와 어둠의 천사가 대립된다). 하느님께서 빛의 아버지이시면, 그분은 또한 빛 자체이기도 하시다(1요한 1,5 참조). 야고보서 필자는 하느님의 행위는 물론(13절) 그분 자체와 관련해서도 빛과 어둠 같은 모든 이원론을 배척하고, 죄인의 특성을 이루는 내적 분열이라든가 두 마음 같은 것을 배제하는 것 같다(4,4 참조). 이러한 하느님은 청하는 이에게 주시고(5절; 5,15) 기꺼이 용서하시는 분이시다(5,11). 그러나 그분은 또한 심판자로서(5,8-10. 그리고 4,12 참조), 시련을 견디어 낸 가난한 이들에게는 하늘 나라를 주시고, 당신의 법을 거스른 부자들에게는 셈 맑히기를 요구하신다.

16

“변화”에 해당하는 그리스 말은 신약 성경에서 여기에만 나오는데, 특히 해와 달을 비롯한 천체가 모습이 바뀌거나 자리를 이동하는 것을 가리킨다. “변동에 따른 그림자”도 해와 달 등 천체의 갖가지 움직임에 따라 생겨나는 그림자를 뜻한다. 이로써 저자는 창조주 하느님의 영원한 불변성을 강조한다.

17

“진리의 말씀”은 하느님의 창조적 말씀보다는 신자들이 받아들인 가르침 곧 그들을 구원으로 이끌어 주는 말씀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하느님의 “뜻”에서 비롯되는 이 말씀은 명백히 복음을 생각하게 한다(에페 1,13; 콜로 1,5; 2티모 2,15; 1베드 1,23-25 참조). 여기에는 또한 필자가 “자유의 법”(25절; 2,12)이라고 부르는 삶의 진리도 포함될 것이다(3,14; 5,19 참조). 욕망은 죽음을 가져오지만(15절), 이 “말씀”은 그리스도인들이 새로운 창조의 맏물로 태어나게 해 준다.

18

“의로움”에 해당하는 그리스 말 디카이오시네는 “정의”로도 옮긴다. “하느님의 의로움”은 바오로 사도가 매우 중요하게 사용하는 용어인데(로마 1,17; 3,21), 바오로 사도는 이 말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계시된 ‘구원’을 표현하고자 한다. 그런데 여기 야고보서에서는 이 말이 이런 의미를 전혀 띠고 있지 않다. 야고보서에서 “하느님의 의로움”은 하느님의 말씀 또는 지혜가 지키라고 요구하는 것 전체, 특히 ‘분노’를 이겨 내는 지고한 ‘사랑’의 법이(2,8 참조) 요구하는 것 전체를 가리킨다. 이러한 명령을 따라야 의롭게 되고(2,21-25) 기도에도 힘이 실리게 된다(5,16 참조). 믿음에서 흘러나오는 실천으로서 “의로움”이라는 이러한 개념과 가장 가까운 생각을 마태오 복음서에서 볼 수 있다(마태 5,6.10.20; 6,33; 12,36-37).

19

잘못된 것을 벗어 버리라는 말은 세례를 받는 이들에게 하는 권고에서 유래하는 것 같다(로마 13,12; 에페 4,22.25; 콜로 3,8; 히브 12,1; 1베드 2,1 참조).

20

“공손히”에 해당하는 그리스 말은 사람들과 관련해서 쓰일 때에는 ‘온유하게’의 뜻을 지닌다(3,13; 마태 5,5; 1베드 3,4.16 참조).

21

“자유의 법”이라는 표현은 2,12에도 나온다.

22

자기 “혀”를 억제하지도 못하면서 스스로 신심이 깊다고 여기는 것은 결국 자기 자신을 속이는 것이다.

23

필자도 예언자들의 전통에 따라, 참된 경신례와 약자들을 위한 “의로움”이 별개의 것이 아님을 강조한다(이사 1,11-17.23; 예레 5,28; 에제 22,7; 즈카 7,10 참조). 경신례에서 요구하는 깨끗함은 결국 사랑의 순수성을 뜻한다(4,8; 마르 7,1-25 참조).

24

“세상”에 관해서는 4,4 각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