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석 성경 > 판관기

17장1)

미카의 신당

1

에프라임 산악 지방에 미카라는2) 사람이 있었다.

2

그가 자기 어머니에게 말하였다. “어머니가 은 천백 세켈을 잃어버리신 일이 있지요? 그때에 저주를 하셨는데, 제가 듣는 데에서도 그리하셨습니다.3) 그 은이 여기 있습니다. 제가 그것을 가져갔습니다.” 그러자 그 어머니가 “내 아들은 주님께 복을 받아라.” 하고 말하였다.4)

3

이렇게 그가 은 천백 세켈을 돌려주니, 그의 어머니가 또 이런 말을 하였다. “사실은 내가 이 은을 내 아들을 위해서 주님께 봉헌하였다. 그것으로 조각 신상과 주조 신상을5) 만들려고 하였는데, 이제 그것을 너에게 도로 주마.”

4

그러나 미카는 그 은을 어머니에게 돌려주었다. 그러자 그 어머니는 은 이백 세켈을 떼어서 은장이에게 주어, 조각 신상과 주조 신상을 만들게 하였다. 그것은 미카의 집에 모셔졌다.6)

5

미카라는 이 사람에게는 신당이7) 하나 있었다. 그는 에폿과8) 수호신들을9) 만들고, 한 아들에게 직무를 맡겨 자기의 사제로 삼았다.10)

6

그 시대에는 이스라엘에 임금이 없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저마다 제 눈에 옳게 보이는 대로 하였다.

7

유다 땅 베들레헴에11) 유다 씨족의 한 젊은이가 있었다. 레위인인 그는 그곳에서 나그네살이하고 있었다.12)

8

그 사람은 다른 곳에서13) 나그네살이하려고, 유다 땅 베들레헴 성읍을 떠나 길을 가다가, 에프라임 산악 지방에 있는 미카의 집까지 이르게 되었다.

9

미카가 그에게 “어디서 오셨소?” 하고 물었다. “저는 유다 땅 베들레헴에서 온 레위인입니다. 아무 데서나 나그네살이하려고 길을 나섰습니다.” 하고 그가 대답하자,

10

미카가 그에게 말하였다. “나와 함께 살면서 나에게 아버지와14) 사제가 되어 주시오. 일 년에 은 열 세켈과 옷가지와 양식을 드리겠소.”15)

11

레위인은 그 사람과 함께 살기로 하였다. 그리고 그 젊은이는 미카의 아들 가운데 하나처럼 되었다.

12

미카가 레위인에게 직무를 맡기니, 그 젊은이는 미카의 사제가 되어 그의 집에 머물렀다.

13

그러자 미카는 ‘레위인이 내 사제가 되었으니, 주님께서 틀림없이 나에게 잘해 주실 것이다.’16) 하고 생각하였다.17)

주석
1

17─18장과 19─21장은 판관기의 부록이라 할 수 있다. 사실 이 두 이야기에는 이민족의 억압, 그리고 3─16장의 ‘대(大)판관들’에 비길 수 있는 “구원자”의 개입이 나오지 않는다. 이 17장 이하의 단락은 유배 이후 왕정에 호의적인 편집자가 덧붙인 것이다. 그 목적은 아마도, 왕조가 창설되기 전에 이스라엘 백성이 겪어야 했던 무정부 상태를 보여 주고(17,6; 18,1; 19,1; 21,25 참조), 판관들에 관한 영웅 서사시에서 사무엘기에 전해지는 왕조의 기원 역사로 넘어가는 연결 구실을 하게 하는 데에 있을 것이다.

2

미카는 히브리 말로 미카여후인데, ‘누가 주님과 같으랴?’를 뜻하는 이 이름이 5절부터는 약칭 미카로 쓰인다. 그리고 이것은 예언자 미카와 같은 이름이다.

3

후반부의 직역: “제 귀들에 말씀하기도 하셨습니다.” 아들이 있는 데에서 저주를 하였는지, (속으로 아들이 범인이라고 생각하면서) 특별히 아들도 들으라고 저주를 되풀이하였는지 분명하지 않다.

4

아들을 축복함으로써, 어머니는 돈을 훔쳐 간 자에게 내뱉은 저주를 취소시키거나, 적어도 무력화시키려는 것이다(2사무 21,3; 1열왕 2,44-45 참조).

5

“조각 신상”은 일반적으로 나무나 돌을 깎아서 만든 신상이고, “주조 신상”은 금속을 녹여 부어서 만든 신상이다. 그러나 이 절과 다음 절의 원문에는 본디 신상이 두 개가 아니라 하나만 언급되었으리라 생각된다. 18,20에는 나오지 않고, 18,17-18에서는 “조각 신상”에 바로 이어서 나오지 않음으로써 위치가 잘못된 것으로 여겨지는 “주조 신상”은, 문제의 신상이 미카의 어머니가 은장이에게 내놓은 은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드러내기 위해서 첨가된 부차적 설명일 수 있다(4절). 또는, “조각 신상과 주조 신상”이, 서양 말에서 중언법(重言法)으로 ‘금잔’을 ‘잔과 금’으로 표현하는 것처럼, ‘은을 입힌 (나무) 신상’을 뜻할 수도 있다. 판관기의 이 이야기에서는 용인되는 것으로 나오는 신상들은 하느님의 율법으로 금지된다(탈출 20,4; 신명 27,15).

6

2-4절은 언뜻 보기에 순서가 얽힌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여러 가지로 본문의 순서를 바꿔 옮기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는 히브리 말 본문의 순서와 형식을 그대로 존중하여 번역한다. 미카의 어머니가 도둑맞은 돈을 찾을 경우에 그 일부나 전부를 하느님께 봉헌하기로 결심하였다는 사실이 본문에서 뚜렷이 드러난다.

7

“신”에 해당하는 히브리 말이 ‘신, 신들, 하느님’을 뜻하기 때문에, 위 낱말은 “신의 집”, “신들의 집”, 또는 “하느님의 집”으로 직역된다. 일반적으로 개인 신당으로 이해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집이 아니라 어떤 신의 현존을 나타내는 ‘기념 기둥’으로 이해하기도 한다(창세 28,17.22 참조).

8

에폿에 대해서는 8,27 각주와 탈출 28,6 각주 참조.

9

집안 수호신들을 가리킨다. 창세 31,19-35; 1사무 19,13 참조. 에폿처럼 이 수호신들도 점을 치는 데에 사용되었을 수 있다(1사무 15,23; 에제 21,26; 호세 3,4; 즈카 10,2). 대개는 조그마한 이 상들은 처음에는 용인되다가(18,14.20; 1사무 19,13-16) 결국은 금지된다(1사무 15,23; 2열왕 23,24 참조).

10

“직무를 맡겨”의 직역: “손을 채워.” 12절에서도 마찬가지다(탈출 28,41; 29,9; 레위 8,33 참조). 이 정형화한 표현은 희생 제물로 바치는 짐승의 일부를 새 사제에게 건네는 동작을 포함한 봉헌 예식을 시사하는 것으로 여기기도 한다(탈출 29,22-24; 40,12-15; 레위 8,27 참조). 자기 가족을 사제로 내세우는 것이 당시에는 비정상적인 일이 아니었던 것 같다. 그러나 13절에 따르면, 미카 자신이 자기 아들의 사제직의 유효성에 대해서 완전히 확신하고 있지 못하였음이 드러난다. 이 5절에는 이렇게 당시 시골에서 주님을 공경할 때에 필요하다고 생각한 소품들이 열거된다. 17─18장의 원이야기에서는 이단으로 간주되지 않았지만(6절 참조), 유배 이후의 편집자는 이러한 경신례를 명백히 배척한다(1열왕 12,31 참조).

11

직역: “유다의 베들레헴.” 즈불룬 지파에 속한 베들레헴과(12,8; 여호 19,15) 구분하기 위해서 이렇게 부르는 것이다.

12

이 7절은 “젊은이”가 유다인이면서 레위인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유다 씨족의”를 생략하기도 한다. 이 사람은 레위 지파의 후손이기 때문에(18,30 참조), 또는 돌아다니면서 필요한 곳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순회 사제 계급’에 속하기 때문에, 레위인이라 불린다. 아무튼 그는 경신례와 점술의 전문가로서 베들레헴의 한 씨족에 ‘이방인’으로 몸 붙여 살고 있었다. 신명 12,12.18-19 참조. 19장에 나오는 레위인도 베들레헴과 관련된다.

13

“다른 곳에서”의 직역: “자기가 발견하는 곳에서.” 다음 절의 “아무 데서나”도 마찬가지다.

14

“아버지”에 대해서는 18,19도 참조. 사제직은 본디 각 가정의 아버지가 수행하였다(5절; 11,31-39; 13,19 참조). 그러다가 “아버지”라는 칭호가 특별히 존경받는 종교계의 인사(2열왕 2,12; 5,13; 6,21; 13,14), 나아가 일반 인사에게도 적용된다(창세 45,8; 1사무 24,12). 레위인에게 이러한 칭호를 부여하면서도, 미카는 동시에 별 어려움 없이 그를 “아들”처럼 여긴다(11절).

15

히브리 말 본문에는 이다음에 “그 레위인은 갔다.”라는 말이 들어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잘못된 것으로 여겨 생략한다. 이를 “그러나 그 레위인은 길을 계속 갔다.”(그러다가 바로 생각을 바꿔서 미카의 제안을 받아들인다는 식으로 이해한다.), 또는 몇몇 고대 번역본을 참조하여 “그는 그 레위인에게 간청하였다.”로 옮기기도 하지만, 가능성은 별로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16

직역: “…… 주님께서 나에게 잘해 주실 것임을 나는 안다.”

17

미카는 이제 주님의 복을 누릴 모든 방도를 마련해 놓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2사무 6,12 참조). 그러나 이 레위인은 미카가 기대하는 행복을 가져다주지 못한다.